베이스캠프/미션2025. 6. 19. 17:26

 

 

최근에 메타인지에 관한 글과 강의를 접하면서, 저는 그동안 제가 학습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공부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질문에 효율적인 공부법, 좋은 성적, 혹은 꾸준한 자기관리 같은 답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메타인지'라는 단어는 조금 다른 질문을 던집니다.

"나는 지금, 나 자신을 얼마나 솔직하게 바라보고 있을까?"

흔히 성적이 좋은 사람이 메타인지가 높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메타인지는 점수를 위한 기술이 아니라 성장을 위한 태도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완벽하지 않은 나'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용기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과정에서 우리는 매번 모르는 것, 부족한 점, 때로는 남 앞에서 부끄러울 수 있는 모습을 마주하게 됩니다.

솔직히 저도 처음엔 잘 모르는 걸 들키는 게 창피해서 질문을 주저하거나, 내 의견이 틀릴까봐 조용히 있던 적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경험한 한 장면이 떠오릅니다.

모두가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놓는 자유토론 시간에, 큰 용기를 내서 제안을 했는데, 누군가 "그건 아닌 것 같아"라고 말하는 순간 얼굴이 확 달아오르고 바로 움츠려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 저는 '내가 완벽하지 않다는 걸 들킨 것 같다'는 생각에 빠져 다음부턴 말조차 아꼈습니다.

이런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지 않을까요?

우리는 흔히, 시작부터 완벽해야 한다고 착각하지만, 사실 모든 아이디어, 모든 배움, 모든 성장은 시행착오에서 시작합니다.

내가 모르는 것을 솔직히 인정하고, 남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때 오히려 더 빠르고 견고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사 손 교수님의 강의에서 강조했던 메시지는 명확했습니다.

'아무도 완벽하지 않다. 성장하고 싶다면, 자신의 부족함을 먼저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라.'

이 짧은 한마디가 참 크게 다가왔습니다.

메타인지는 단순한 공부 기술이 아니라, 자신을 보는 거울입니다.

그 거울 속에서, 나는 완벽하지 않지만 더 나아지고 있다는 걸 믿는 힘.

그리고 내 부족함마저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용기.

이게 바로 앞으로 내가 꾸준히 키워가고 싶은 태도이자, 진짜 성장의 출발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지금 새로운 것을 배우며 "나는 왜 이렇게 못하지?" "남들이 알까봐 창피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잠시 멈춰 서서 내 모습을 솔직히 바라보세요.

모르는 건 당연하고, 부족한 건 누구나 마찬가지입니다.

질문하세요, 도움을 구하세요,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이 나를 성장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리사 손 교수가 강조한 메타인지에 관한 세 문장을 공유하며 글을 마칩니다.

 

메타인지는 자기 자신을 보는 거울이다.

거울을 보면서, 자기 자신을 믿는 능력이다.

거울을 보면서, 나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는 것이다.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베이스캠프/미션2025. 6. 17. 18:18

우리는 종종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야' 라며 자신의 한계를 미리 정해버리곤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읽은 뇌 가소성에 관한 글과 아래 영상을 통해, 뇌는 생각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변화무쌍한 존재라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인간의 뇌는 태어날 때부터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미완성의 가능성 덩어리로 세상에 나옵니다.

환경에 적응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며, 필요에 따라 스스로를 재구성하는 능력인 '가소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밀은 뇌가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해왔기 때문 아닐까요?

남극의 얼음 위든, 적도의 뜨거운 태양 아래든, 인간은 살아남았고, 그 중심엔 유연한 뇌가 있었습니다.

이 내용이 제게 깊게 와닿았던 이유는, 저 역시 새로운 것을 배울 때마다 종종 두려움과 막막함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처음 접하는 형식의 프로젝트를 맡으면서, 모든 게 낯설고 머릿속이 복잡하기만 했습니다.

하지만 '뇌는 학습하는 동안 계속해서 변한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지금 이 순간 뇌 어딘가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물론, 환경에 노출된다고 해서 자동으로 변화가 일어나진 않습니다.

꾸준함내재적 동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단지 '노출'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내가 왜 이걸 배우고 싶은지, 어떤 목표가 있는지 스스로 인식해야 비로소 변화의 속도가 붙는다는 점도 공감이 갔습니다.

바이올리니스트 이츠하크 펄먼의 일화도 인상적이었습니다.

그의 연주를 듣고 '평생을 바칠 수 있다'는 찬사를 보낸 관객에게, 펄먼은 '저는 그렇게 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이 말에 담긴 무게를 생각해보면, 누구나 꾸준함과 인내만 있다면 자신의 뇌를, 그리고 삶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듭니다.

이처럼 우리의 뇌는 변화와 성장을 거듭할 수 있는 '말랑한 기관'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새로운 환경과 도전에 내 뇌를 노출시키고자 합니다.

익숙함에서 벗어나는 것이 때론 두렵지만, 그 과정이 결국엔 나를 성장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임을 믿으니까요.

혹시 지금 배우는 것이 어렵고 버겁게 느껴진다면, 조급해하지 말고 내 뇌가 변화할 시간을 조금만 더 줘보세요.

어쩌면 어느 순간, 내가 상상도 못했던 모습으로 성장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카테고리 없음2017. 9. 24. 22:49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1. 리눅스 OS 이름 확인

rpm -qa *-release

다른 방법으로는

cat /etc/*release*


2. 리눅스 OS bit 수 확인

getconf LONG_BIT


3. MAC ADDRESS 확인

ifconfig -a


4. CPU 개수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5. jdk 1.7 버전 다운로드 경로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ava-archive-downloads-javase7-521261.html


HaveAGoodTime.apk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안녕하세요. 요새 너무 바빠서 글을 올릴 시간이 없었네요.


이번에는 jericho-android.3.1.jar 를 이용해서 유튜브 홈페이지의 재생목록을 파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jericho-android.3.1.jar 파일은 첨부파일에 올려놓을테니 다운받으시고 이클립스에서 Build Path에 추가해주세요.(추가하시는 방법 모르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jericho-android.3.1.jar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제가 파싱하고자 하는곳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만들어 놓은 재생목록 입니다. 물론 다른 사람의 재생목록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올린 재생목록이 보이는데 이중에서 구름빵 2기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구름빵 2기 들어가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목과 올린사람 ID 시간등이 보이네요.


여기를 파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는 파싱을 할려면 다음 주소에 들어가야합니다.


https://gdata.youtube.com/feeds/api/users/kcizzang/playlists


위에 빨간배경 글자는 제 아이디 입니다. 저 부분만 본인 아이디 또는 다른사람 아이디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우선 제 아이디로 들어갔을때 화면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처럼 xml 문서가 보이게 되는데 아까 제가 구름빵 2기를 파싱한다고 했으므로 빨간 상자의 주소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s://gdata.youtube.com/feeds/api/playlists/PLjMAs0z8gAZjibk9-Ag9NIOOdPA03D5j-


비슷한 URL 들이 보이는데 https://gdata.youtube.com/feeds/api/playlists/재생목록리스트 <- 이러한 형식의 URL로 접속하셔야 정확한 정보가 보이게 됩니다.




정확하게 들어오셨다면 위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서 우선 저는 제목만 파싱만 해올것이라서 위에 줄친것을 보도록 합니다.


<title type="text">구름빵 2기 26화 홍시의 습관 고치기


이렇게 되어있네요. 위에 title, type, text 를 잊지말고 이제 코딩을 시작하겠습니다.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net.htmlparser.jericho.Element;

import net.htmlparser.jericho.HTMLElementName;

import net.htmlparser.jericho.Source;

import net.htmlparser.jericho.TextExtractor;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idget.TextView;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ctivity{


TextView textView;  // 제목을 표시해줄 텍스트뷰

private static Thread thread = null;

String parsing_url;  // 파싱해오고자 하는 URL

String get_data;  // 파싱해서 가져온 데이터를 저장할 스트링 변수

ArrayList<String> array;  // get_data 변수의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배열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textView = (TextView)findViewById(R.id.textView1);

parsing_url = "https://gdata.youtube.com/feeds/api/playlists/PLjMAs0z8gAZjibk9-Ag9NIOOdPA03D5j-";

Runnable task = new Runnable(){

public void run(){

getData(parsing_url);

}

};

thread = new Thread(task);

thread.start();  // 반드시 쓰레드를 해줘야함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

try{

thread.join();  // 쓰레드 작업 끝날때까지 다른 작업들은 대기

}catch(Exception e){

}

for(int i = 0; i < array.size(); i++){

textView.append(array.get(i) + "\n");  // 쓰레드 작업 끝나면 텍스트뷰에 가져온 데이터를 입력

}

}

    

    // 파싱 작업을 하는 메서드

    public ArrayList<String> getData(String strURL){

    Source source;

    get_data = "";

    array = new ArrayList();

    try{

    URL url = new URL(strURL);

    source = new Source(url);  // 쓰레드를 사용 안하면 여기에서 예외 발생함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

    Element element = null;

   

    List<Element> list = source.getAllElements(HTMLElementName.TITLE); // title 태그의 엘리먼트 가져옴

   

    for(int i = 0; i < list.size(); i++){

    element = list.get(i);

    String attributevalue = element.getAttributeValue("type");  // title 태그의 속성값이 type을 찾는다

    if(attributevalue != null){

    if(attributevalue.equalsIgnoreCase("text")){  // type의 값이 text 이면

    TextExtractor textExtractor = element.getTextExtractor();  // 해당 문자값을 가져온다

    get_data = textExtractor.toString();  // 가져온 값을 스트링으로 변환후

    array.add(get_data);  // ArrayList에 추가한다

    }

    }

    }

    }catch(Exception e){

   

    }

    return array;  // 입력된 배열값을 리턴

    }

}

 


끝입니다. 안드로이드 공부한지 얼마안되어서 그런지 소스 정리를 잘 못하겠네요. 이해해주시구요. ㅎㅎ


그럼 실행화면을 한번 볼까요?




예~ 성공적으로 잘 가져오네요.


우선 아까 위에 주석에 보면 쓰레드를 반드시 이용해야한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예전에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2.3버전) 까지는 네트워크 작업을 메인 쓰레드에서 같이 작업이 가능했었습니다.


하지만 아이스크림(4.0버전) 이후부터는 네트워크 작업에 메인쓰레드에서 작업이 안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쓰레드를 생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별거 아닌 이유를 왜 지금 적느냐면 다른데서 구글링 해보면 거의 대부분이 쓰레드를 이용하라는 언급이 없어서 이렇게 저라도 글을 남기고 있습니다.


쓰레드는 여기까지 하고...다음은 처음 그림에서 title, type, text를 유심히 보라고 했었는데 소스 적어놓은데 보면 그 이유가 있습니다. 뭐...어렵지 않으니까 보시면 아~ 하실꺼에요.


혹시 이해안되시거나 궁금한거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카테고리 없음2014. 4. 14. 15:52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제가 홍보 좀 할려고 포스팅을 하네요.


제가 직접 제작한 앱 입니다.


이름은 한글영어 어린이동영상 이구요.


제목 그대로 어린이들 동영상 보는 앱 입니다.


한글 동영상과 영어 동영상 구분이 되어 있어서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동영상을 편하게 보여줄 수 있구요.


LOCK 기능이 있어서 LOCK 설정 해놓은 상태면 아이들이 휴대폰을 여기저기 터치해도 동영상이 재생하는데 아무 문제 없습니다.


뽀로로, 코코몽, 뽀잉, 선물공룡 디보, 브루미즈, 둥둥, 쥬쥬, 옥토넛등등등 2000여개 넘는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다운받는곳은 아래 링크 클릭해주세요.


다운받기


혹시 이상한거 다운받는거 아닌가 싶으신분들은 구글플레이에서 강진일 검색하시면 어린이동영상 나옵니다.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글 읽기 전에 손가락 한번 꾸~욱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저귀 발진이란 기저귀가 닿는 부분에 붉게 발진이 생기고, 짓무르며, 심할 경우 피부가 벗겨지고 하얗게 일어나기도 하는 접촉성 피부염을 말합니다. 기저귀 발진이라고 이름이 붙은 이유는 기저귀 그 자체보다는 기저귀가 닿는 부위에 나타나는 증상이기 때문입니다. 아기의 피부는 연약하고 부드러워서 조그마한 외부자극에도 쉽게 발병이 됩니다. 실제로 기저귀를 착용하는 아기에게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발생원인 및 증상

  - 축축하고 젖은 기저귀를 오랜 시간 착용했을 때

  - 통풍 저하, 설사, 미열 혹은 감기 등으로 컨디션이 나쁠 때

  - 이유식이나 새로운 음식을 시작할 때

  - 항생제 복용이나 변이 묽을 때

  - 피부 타입의 개인 차에 따라 발생


주의사항

  - 아기에게 이유식을 할 때 과일주스나 과즙에 의해 대변이 산성이 되면서 아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대변의 자극이나 소변의 암모니아 성분으로 피부 산도와 습도가 올라가면 이로 인해 피부 손상이 시작되어 발진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대처 방법

  - 기저귀를 자주 확인하고 갈아 주며, 발진 부위의 피부를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해주세요.

  - 기저귀를 갈아 줄 때는 반드시 물티슈로 닦거나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씻어 청결을 유지해 주세요.

  - 아기 피부에 심한 자극을 주지 마세요.

  -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에는 전문가와 상의하고, 처방 받은 연고를 발라 주세요.

  - 연고는 아기 엉덩이에 잘 말린 후 발라 주세요.

  - 파우더는 증상이 호전된 다음이나 발진이 없을 때 예방 차원에서 발라 주는 것이 좋아요.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글 읽기 전에 손가락 한번 꾸~욱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유식 시작시기
  - 모유 수유아 : 6개월(4~6개월)
  - 분유 수유아 : 4 ~ 6개월
  - 아토피 있는 아기 : 만 6개월 전에 안됨
  - 부모들이 음식 먹는 모습을 보고 아이가 침을 흘리거나 입맛을 다시면 이유식 시작할 시기임

기본 원칙
  - 만들어 먹이자
  - 돌까지는 간을 하지 말자
  - 4개월 전에 이유식 하지 말자
  - 이유식은 숟가락으로 먹이자
  - 모유 수유아는 특히 철분보충에 유의
  - 만 6개월부터는 컵으로 먹이는 연습 시작

  - 7개월 이전에 고기 시작

  - 흘리는 것을 겁내지 말자

  - 8개월에는 스스로 손으로 먹게 연습


모유 수유아

  - 만 6개월에 철분이 많은 고기같은 이유식을 먹이지 않으면 철분제 보충

  - 1mg/kg/day : 훼럼키드 1방울/2.5kg/day


이유식이 늦었을 때

  - 1 ~ 1.5달 안에 따라잡게 진행을 빠르게 할 것


덩어리를 먹이기

  - 7개월 이전에 완전히 가는 것은 졸업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 이유식 주의 사항

  - 이유식은 6개월 이전 곤란

  - 이유식 만들어 먹일 것

  - 새우 생선(멸치 흰살생선 포함) 조개 세돌전 곤란

  - 두부 요구르트 치즈 밀가루 돌까지 곤란

  - 계란은 두돌까지 곤란

  - 딸기 토마토 오렌지 귤 돌전에 곤란


이유식 횟수

  - 횟수는 4~5개월 : 1회

  - 6 ~ 9개월 : 1 ~ 3회. 잘 먹으면 3회를 시도해서 가능하면 3회

  - 9 ~ 11개월 : 3회


이유식 시작 시간

  - 처음 1번 먹일 때는 오전 10시쯤

  - 2번 먹일때는 오전 10시 오후 6시

  - 3번 먹일때는 오전 10시 오후 2시 오후 6시


이유식의 굳기

  - 4 ~ 5개월 : 묽은 스프정도

  - 6개월부터 : 마요네즈나 잼처럼 - 으깨서

  - 7 ~ 10개월 : 다져서(이때부터는 갈지 말고 주어야 합니다)

  - 7개월 : 혀로 부술 수 있을 정도

  - 9개월 : 잇몸으로 부술 수 있을 정도


Finger food

  - 8개월에는 손으로 먹을 음식을 주어 스스로 먹게 하자


음식별 시작 나이

  - 쌀죽 : 4 ~ 6개월

  - 현미 : 6개월

  - 과일 : 4개월, 딸기와 토마토는 돌

  - 과일주스 : 6개월, 오렌지와 귤 6 ~9개월

  - 계란 : 노른자 6 ~ 12개월, 흰자 돌때부터, 완숙이어야함!, 알레르기 있으면 2돌

  - 야채 : 4 ~ 6개월, 시금치 당근 6개월

  - 생선 : 6 ~ 12개월, 알레르기 2 ~ 3돌

  - 조개 새우 랍스터 : 2 ~ 3돌

  - 소고기 닭고기 : 6개월

  - 두부 : 7개월부터, 알레르기 있으면 1돌

  - 요구르트 : 8개월, 알레르기 있으면 1돌

  - 초기에 한꺼번에 여러가지 곡식을 섞어 먹이지 말 것. 5가지 식품군을 우선 확보한 후에 곡식 종류를 섞는 것이 좋다. 선식은 안됨


이유식 초기(4 ~ 6개월)

  - 최소 만 4개월 이후 시작

  - 한번에 한가지 음식을 첨가 : 3일 정도의 간격을 둔다. 알레르기 있으면 1주 간격

  - 처음에는 쌀죽부터

  - 한숟가락부터 시작해서 서서히 늘인다.

  - 만 6개월부터 고기 첨가가 중요. 육수도 먹이지만 고기를 꼭 먹여야 함.

  - 6개월에 시작한 경우 식품군 확보가 우선 : 쌀죽 고기 야채 과일 순으로 첨가 가능.

  - 한번 섞어서 문제가 없는 것은 계속 첨가 가능.

  - 이유식이 늦은 경우 한두달안에 따라잡아야 한다.

  - 6개월에 이유식은 한번에 60cc 정도를 하루에 2 ~ 3번 정도 먹일 수도 있다.

  - 밤에 깬다고 젖부터 물리지 말자. 스스로 다시 잠들게 기회를 준다.


이유식 중기(7 ~ 8개월)

  - 양을 늘이고 덩어리를 주어 음식의 질감을 익히는 것이 중요

  - 고기를 준다.

  - 이제는 완전히 갈지 말고 작아도 덩어리를 먹는 연습을 시작한다.

  - 숟가락으로 스스로 먹게 쥐여준다.

  - 반드시 한곳에 앉아서 먹게 한다.

  - 흘린다고 야단치지 말고 흘린다고 음식을 빼앗지 말자.

  - 분유를 컵으로 시작한다.

  - 간을 해서는 안된다.

  - 수면 교육을 하면 밤에는 수유하지 않고 잘 수 있다.


이유식 후기(9 ~ 11개월)

  - 어른 먹는 음식으로 넘어가는 시기

  - 덩어리가 많은 음식을 먹인다.

  - 밥, 고기, 야채, 과일, 모유나 분유등 5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먹여야 한다.

  - 모유 수유아는 특히 고기를 매일 먹여야 한다. 돌에 하루 고기 40 ~ 50g정도

  - 숟가락으로 혼자 먹게 한다.

  - 흘려도 손으로 집어 먹게 한다.

  - 밤에 수유를 하지 않게 한다.

  - 돌아다니며 먹지 않게 한다.

  - 소금을 제외한 양념은 너무 자극적이지 않으면 첨가 할 수 있다.

  - 김치나 된장같이 짠음식은 피한다.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글 읽기 전에 손가락 한번 꾸~욱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각 예방접종 및 접종일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반드시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세요.


아래 표에서 빨간색 글씨는 표 밑에 설명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표 중간에 파란색 가로줄이 있습니다. 파란색 줄 위로는 국가필수 예방접종이며(결핵, B형 간염,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두, 일본뇌염, 인플루엔자, 장티푸스) 국가필수 예방접종의 의미는 국가가 권장하는 예방접종으로서 국가는 감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과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을 정하고, 국민과 의료인들에게 이를 준수토록 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파란줄 아래로는 민간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예방접종 입니다.


대상 감염병

백신종류 및 방법 

횟수 

1개월

이내 

1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15개월 

18개월 

24개월 

36개월 

만4세 

만6세 

만11세 

만12세 

결핵

BCG

(피내용)

BCG

(피내용)

1회 

 

 

 

 

 

 

 

 

 

 

 

 

 

B형 간염

HepB 

B형 

간염1차 

B형 

간염2차 

 

 

B형 

간염3차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DTap

 

 

DTap

1차 

DTap

2차 

DTap

3차 

 

DTap 4차

 

 

DTap 5차

 

 

Td/Tdap

 

 

 

 

 

 

 

 

 

 

 

 

Td/Tdap 6차

폴리오

IPV 

 

 

IPV

1차 

IPV

2차 

IPV

3차 

 

 

 

 

 

IPV 4차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PRP-T/

HbOC

 

 

Hib

1차 

Hib

2차 

Hib

3차 

Hib 4차

 

 

 

 

 

 

 

PRP-OMP

 

 

Hib

1차 

Hib

2차 

 

Hib 3차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MMR

 

 

 

 

 

MMR 1차

 

 

 

MMR 2차

 

 

수두

Var 

 

 

 

 

 

수두 1회

 

 

 

 

 

 

 

일본뇌염

JEV

(사백신) 

 

 

 

 

JEV(사백신) 1 ~ 3차

JEV

4차

 

JEV

5차

인플루엔자

Flu

(사백신)

 

 

 

 

Flu(사백신) 매년 접종

 

 

 

Flu

(생백신)

 

 

 

 

 

 

 

 

Flu(생백신) 매년 접종

 

 

 

장티푸스

주사용 

 

 

 

 

 

 

 

 

고위험군에 한하여 접종

결핵

BCG

(경피용) 

BCG

(피내용)

1회 

 

 

 

 

 

 

 

 

 

 

 

 

 

폐렴구균

PCV

(단백결합) 

 

 

PCV

1차 

PCV

2차 

PCV

3차 

PCV 4차

 

 

 

 

 

 

 

PPSV

(다당질)

 

 

 

 

 

 

 

 

고위험군에 한하여 접종

로타

바이러스

1가 

로타백신

 

 

로타1차 

로타2차

 

 

 

 

 

 

 

 

 

 

5가

로타백신

 

 

로타1차 

로타2차 

로타3차 

 

 

 

 

 

 

 

 

 

일본뇌염

JEV

(생백신) 

 

 

 

 

 

 

JEV(생백신) 1 ~ 2차

 

 

 

 

 

A형 간염

HepA 

 

 

 

 

 

 

HepA 1 ~ 2차

 

 

 

 

 


BCG : 생후 4주 이내 접종


B형 간염 : 임산부가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인 경우에는 출생 후 12시간 내에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HBIG) 및 B형 간염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고, 이후의 B형 간염 접종일정은 출생 후 1개월 및 6개월에 2차, 3차 접종 실시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 DTaP-IPV(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혼합백신으로 접종 가능


Td/Tdap : 만 11 ~ 12세에 Td 또는 TdaP으로 추가 접종 권장


폴리오 : 3차 접종은 생후 6개월에 접종하나 18개월까지 접종 가능하며, TaP-IPV(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혼합백신으로 접종 가능

※ DTaP-IPV(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 생후 2, 4, 6개월에 DTaP, IPV 백신 대신 DTaP-IPV 혼합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음. 이 경우 기초 3회는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며, 생후 15 ~ 18개월에 접종하는 DTaP 백신은 제조사에 관계없이 선택하여 접종 가능


b형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 생후 2개월 ~ 5세 미만 모든 소아를 대상으로 접종. 5세 이상은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감염 위험성이 높은 경우 (겸상적혈구증, 비장 절제술 후,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 저하, 백혈병, HiV 감염, 체액면역 결핍 등) 접종


홍역 : 유행 시 생후 6 ~ 11개월에 MMR 백신 접종이 가능하나 이 경우 생후 12개월 이후에 MMR 백신을 다시 접종


일본뇌염(사백신) : 1차 접종 후 7 ~ 30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실시하고, 2차 접종 후 12개월 후 3차 접종


인플루엔자(사백신) : 6 ~ 59개월 소아의 경우 매년 접종 실시, 이 경우 접종 첫 해에는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이 후 매년 1회 접종(단, 인플루엔자 접종 후 첫 해에 1회만 접종받은 경우 그 다음 해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인플루엔자(생백신) : 24개월 이상부터 접종 가능하며, 접종 첫 해에는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이후 매년 1회 접종(단, 인플루엔자 접종 첫 해에 1회만 접종받은 경우 그 다음해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장티푸스 : 장티푸스 보균자와 밀저하게 접촉하거나 장티푸스가 유행하는 지역으로 여행하는 경우 등 위험요인 및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


폐렴구균(단백결합) : 10가와 13가 단백결합 백신 간에 교차접종은 권장하지 않음


폐렴구균(다당질) : 2세 이상의 폐구균 감염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며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담당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접종

  - 폐구균 감염의 고위험군 

    └ 면역 기능이 저하된 소아 : HIV 감염증,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질환

       (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치킨병) 혹은 고형 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 :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무비증 혹은 비장 기능장애

    └ 면역 기능은 정상이나 다음 질환을 가진 소아 : 만성 심장질환, 만성 폐질환, 당뇨병,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


일본뇌염(생백신) : 1차 접종 후 12개월 후 2차 접종


A형 간염 : 생후 12개월 이후에 1차 접종하고, 6 ~ 18개월 후 추가 접종(백신에 따라 접종 시기가 다름)


Posted by 정윤문경아빠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으면 자동으로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성이 됩니다.


하지만 Tstore 라던가 몇몇 스토어에서는 앱을 설치해도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성이 안됩니다.


아래는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MainActivity.java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ctivity{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haredPreferences pref = getSharedPreferences("pref", MODE_PRIVATE);

        pref.getString("check", "");

        if(pref.getString("check", "").isEmpty()){

Intent shortcut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MAIN);

shortcutIntent.addCategory(Intent.CATEGORY_LAUNCHER);

shortcutIntent.setClassName(this, getClass().getName());

shortcutIntent.addFlags(Intent.FLAG_ACTIVITY_NEW_TASK| 

Intent.FLAG_ACTIVITY_RESET_TASK_IF_NEEDED);

Intent intent = new Intent();

intent.putExtra(Intent.EXTRA_SHORTCUT_INTENT, shortcutIntent);

intent.putExtra(Intent.EXTRA_SHORTCUT_NAME, getResources().getString(R.string.app_name));

intent.putExtra(Intent.EXTRA_SHORTCUT_ICON_RESOURCE,

Intent.ShortcutIconResource.fromContext(this, R.drawable.ic_launcher));

intent.putExtra("duplicate", false);

intent.setAction("com.android.launcher.action.INSTALL_SHORTCUT");

        

sendBroadcast(intent);

        }

SharedPreferences.Editor editor = pref.edit();

        editor.putString("check", "exist");

        editor.commit();

    }

}




AndroidManifest.xml 

<uses-permission android:name="com.android.launcher.permission.INSTALL_SHORTCUT" />  // 추가해줍니다.


정말 간단하죠?


이제 앱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추가되고 아이콘이 추가되어 있는 상태라면 설치를 안합니다.


즉 앱이 실행이 될때마다 아이콘 유무를 체크하고 아이콘이 없으면 아이콘을 설치합니다.



Posted by 정윤문경아빠